Free Post 시민저널리즘 시민기자 시대, 그래도 기자는 필요하다 허버트 갠즈 교수라고 아시나요? 아마 번역서라곤 '저널리즘, 민주주의에 약인가 독인가' 정도밖에 없어서 모르시는 분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제 블로그에선 자주 언급했던 분이기도 합니다. 현재 콜롬비아 대학 교수로 계시죠. 며칠전
Free Post 시민저널리즘 미디어 혁신과 엘리트의 시민공포증 뉴미디어 뉴스/소셜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 2010/05/16 16:56 몽양부활 미디어 격변기다. 하루가 멀다 하고 언론사의 인수 합병과 제휴, 혁신 사례가 소개된다. 일주일 휴가라도 다녀온 날엔 ‘미디어 문맹‘이 된
Free Post 워싱턴포스트 WaPo, 정치 블로거와 제휴 'political blog network' 오픈 등 뉴미디어 뉴스/소셜미디어와 시민저널리즘 2010/05/16 14:45 몽양부활 이번주 시민저널리즘 관련한 해외 언론의 소식들 몇 가지를 추려봤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됐으면 합니다. □ 워싱턴포스트, 정치 블로거와 제휴해 'political
Free Post 시민저널리즘 [인터뷰] 시민참여 저널리즘의 역사와 발전가능성 오마이뉴스, 다음 아고라, 트위터, 블로그, 태터앤미디어 블로그 신문 등이 시민참여 저널리즘을 확산시키고 있는 현실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민참여 저널리즘이 무한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기술이 발전할 수록 시민들의 참여 방법이 더욱 다양해
Free Post barry wellman 블로그와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 사회는 지금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networked individualism)’가 급부상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된다. 블로그는 ‘네트워크화된 개인주의’ 확산의 1등 공신이며, 베이스캠프이다. 웰먼 토론토대 교수가 이를 미리 예견하고 이 단어를 조어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아이디어만은 충분히 평가받을 만하다고 하겠다. 그는 그의 논문에서 다음 3가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