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Post 민주주의 [저널리즘과 민주주의 연재 (4)] 저널리즘의 '용수철 모델'과 양극화 해결 당대 한국 민주주의의 문제 해결을 위한 저널리즘의 역할 모델 - 용수철 모델 용수철 쓰거나 볼 일 자주 없으시죠? 오늘은 용수철 얘기로 시작을 해야 할 듯합니다. 용수철은 힘을 가했을 때 원래의
Free Post 민주주의 [저널리즘과 민주주의 연재 (3)] 한국 민주주의가 당면한 핵심 문제는? 당대 한국 민주주의의 핵심 문제들 - 사회적 다원주의의 위기와 양극화 사실 한국 민주주의의 역사는 한국 저널리즘의 품질과 큰 관계 없이 개선되고 진보해 왔습니다. 여러 이론들에서 제기되고 있지만, “민주주의와 저널리즘의 관계는
Free Post 민주주의 [저널리즘과 민주주의 연재 (2)] 한국 민주주의와 한국 저널리즘의 연결고리를 찾기 위한 조건 저널리스트 자긍심의 복원은 저널리즘과 민주주의의 연결 관계를 탐색하는데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저널리즘이 공공적 가치와 결합하지 못하고 그것과의 함수관계가 과거보다 더 모호해진다면 저널리스트라는 전문직으로서 호칭과 위상은 사회적으로 평가받기 어려워집니다. 그저 더
Free Post 저널리즘 [저널리즘과 민주주의 연재 (1)] 민주주의를 위해 저널리즘은 꼭 필요할까? 저널리즘 규범과 강령은 한국 사회, 한국 민주주의가 품고 있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널리즘 영역에서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에서 출발하려고 합니다. 가장 근본적인 질문부터 시작을 하겠습니다. 저널리즘은
Free Post Victor Picard 한국언론진흥재단 닮은 빅터 피카드의 저널리즘 공적 지원 모델 문득 궁금해서 빅터 피카드(Victor Pickard) 교수에게 직접 물어봤습니다. 가디언에 기고한 칼럼이나 최근 인터뷰 등을 보면 빅터 교수가 공적 지원의 대안적 형태로 우리나라의 언론진흥재단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가
Free Post 저널리즘 저널리즘은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을까 신화나 신념은 가끔 저널리스트들의 비판적 의심을 짓누르거나 은폐한다. 그 가운데 으뜸은 저널리즘이 당연히 민주주의에 기여한다고 하는 신념 체계다. 이미 적지 않은 이론가들이 둘 사이의 관계를 부정하거나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지만, 20세기 초반 구축된 이 이론과 신화는 좀체 질문을 허락하지 않는다. “기자들이 신봉하는 저널리즘의
Free Post 민주주의 아담 쉐보르스키 '민주주의와 시장' ◇ 민주주의는 균형이 될 수 있다. 민주주의는 지배자와 피지배자의 구별이 사라지는 자기통치의 체계이다. (몽테스키외 “인민들은 한편으로는 군주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신하이기 때문이다”) ◇ 효율성은 많은 복지의 분배형태들과 양립할 수 있다.(민주주의와 시장 150p) ◇ 자본주의는 경쟁적 균형상태 하에서도 비효율적이다. ◇ 자본주의가 기술적으로 실현가능한 복지의 분배에 도달할 수
Free Post 저널리즘 저널리즘은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있는가 개인적으로, 기자들이 저널리즘과 민주주의를 도식적으로 연결시키는데 주의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뉴스가 혹은 저널리즘이 민주주의의 보루이며 나아가 민주주의 고양하는데 필수적 요소라고 인식하기 쉬운데, 이를 입증할 만한 조건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기계적으로 등식화하는 건 착각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근 아웃링크 논쟁에서 이러한 도식을 비판없이 수용하고 전제하는 경우들이 잦은
Free Post 저널리즘 우리가 말하는 저널리즘의 정의는 무엇인가 지난 1월14일 미디어오늘과 커뮤니케이션북스가 주최하는 혁신 저널리즘 콘퍼런스에 토론자로 참석한 일이 있었습니다. 앞서 발제자들의 발표 내용을 보면서 뇌리를 스쳐갔던 고민거리들을 아이폰 메모장에 기록을 해두었습니다. 기록으로 남겨두기 위해서 다시 여기에 올려둡니다. 저널리즘=전통 언론? 본질 얘기해야 한다 사실의 축 / 통찰의 축 민주주의의 함수식에서 어떤 저널리즘이
Free Post 시민저널리즘 시민기자 시대, 그래도 기자는 필요하다 허버트 갠즈 교수라고 아시나요? 아마 번역서라곤 '저널리즘, 민주주의에 약인가 독인가' 정도밖에 없어서 모르시는 분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제 블로그에선 자주 언급했던 분이기도 합니다. 현재 콜롬비아 대학 교수로 계시죠. 며칠전
Free Post 민주주의 소셜미디어가 민주주의 후퇴 막는다 뉴미디어 뉴스/저널리즘과 민주주의 2009/06/26 10:33 몽양부활 ‘포스트 민주주의’란 말이 운위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명박 정부 들어 이런 단어가 공공연 하게 퍼져나가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포스트 민주주의란 영국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