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인터뷰] '디지털 구독 5년' 아웃스탠딩, 꾸준한 성장의 요인은 무엇일까 디지털 구독을 핵심 수익모델로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국내 언론사하면 어디부터 떠올리시나요? 이러한 질문을 던졌을 때 다수는 “국내에? 그런 곳이 있어?”라고 답변을 합니다. 하지만 적잖은 수의 언론 산업 종사자, 특히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와이어드가 밝힌 유료 구독 부르는 콘텐츠 유형 구독을 부르는 스토리는? 구독을 부르는 기사나 스토리는 그렇지 않은 것과 무엇일 다를까요? 아마 이걸 궁금해 하는 분들이 적지 않을 겁니다. 이를 추정해 보기 위해 2018~2019년 와이어드닷컴의 사례를 들여다 보면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블룸버그와 디애슬래틱의 디지털 구독 결합상품이 한국 시장에 던지는 함의 Axios에서도 보도를 했다시피, 블룸버그와 디애슬래틱이 디지털 구독 번들 상품을 내놨습니다. 블룸버그는 2018년부터, 디애슬래틱은 2016년 창간 때부터 구독모델을 운영해왔습니다. 한쪽은 비즈니스 미디어, 다른 한쪽은 스포츠 전문 미디어로 서로 카테고리도 겹치지 않습니다.
Free Post 디지털 구독 디지털 구독 모델의 성공 사례와 그들이 제안하는 팁들 지난 2월27일 Media Subscriptions Summit에서 소개된 두 언론사의 조언은 대체로 입구 전략과 이탈 방지 전략에 초점을 맞춰져 있었습니다. 더 많은 독자들에게 콘텐츠가 도달할 수 있도록 입구를 크게 열어놓은 뒤, 붙잡은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버팔로 뉴스의 디지털 구독 전환이 한겨레 10만 후원 모델에 주는 함의들 버팔로 뉴스가 디지털 구독을 시도한 시점은 2012년입니다. 뉴욕타임스와 시작 시점에선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누적된 실패 경험이 없었을 뿐이죠. 버팔로 뉴스는 우리가 알고 있는 전형적인 신문사입니다. 트래픽을 우선으로 뒀고, 신문
Free Post subscription [기고] 400년 구독의 역사로 본 디지털 구독의 현재와 미래 18세기 유행했던 구독이 저널리즘 영역에서 다시 뜬 이유는 “앞서서도 설명했지만, 언론사의 수익 모델은 당대의 경기 상황 그리고 기술적 조건의 변화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현재의 디지털 구독 모델은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수익 모델이 아니다. 스트리밍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향상, 디지털 파일의 소유를 둘러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