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Post 허위조작정보 정부 '디지털 미디어 소통역량 강화 종합계획' 한 눈에 보기 좀더 자세히 보기 정부가 판단하는 문제 추정 사실 추진 배경 3가지 중 2가지가 정부가 인식하는 문제점들이라고 판단할 수 있을 듯합니다. 비대면 사회로 인해 온라인 활동이 늘어났으나, 그 공간 안에서 공동체에
Free Post 허위조작정보 소셜미디어-뉴스 '거리두기' 실천 아래 글은 언론사람 4월호에 게재된 칼럼입니다. 뉴스를 소비하는 호흡을 코로나19 사태 기간만이라도 조금은 늦춰보면 좋겠다는 취지에서 써봤습니다. 저는 요즘 주간지를 읽기 위해 조금 애를 쓰고 있습니다. 저 나름의 '소셜미디어 거리두기',
Free Post disinformation 음모론 확산 피하기 위해 기자가 유념할 것들 3 WAYS TO AVOID AMPLIFYING CONSPIRACY THEORIES ‘증폭의 산소'(The Oxygen of Amplification)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짐작하시겠지만, 불과 같은 허위조작 정보가 산소를 얻어 급속히 확산되는 현상 혹은 요인을 의미합니다. 저널리스트들이 허위조작 정보를 보도할 때 유의해야 하는, 꼭 염두에 둬야 하는 개념이 바로 이것입니다.
Free Post disinformation 허위조작정보는 왜 확산되는가에 대한 통찰력 있는 논문들 인용 글 : Why is fake news so prevalent? Researchers offer some answers 첫번째 논문(Henkel, 2018) 스토리가 더 강력할 수 있다. 링컨대 헨켈은 사실의 정확성보다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를 선택하는 우리의 경향성이 우리를 거짓 주장이나 신화에 더 민감하도록 만든다고 주장한다.(Stories can be so powerful,
Free Post 도구 NYT 메튜 정치담당 기자가 허위정보 추적 위해 활용하는 기술들 뉴욕타임스의 ‘Tech We’re using’ 시리즈에, 정치 허위정보 추적을 담당하는 메튜 로젠버그의 인터뷰 기사가 실렸더군요. 이 코너는 코너명에서도 곧바로 확인할 수 있다시피, 실제 자신의 업무에 어떤 기술과 도구를 활용하는지를 소개하는 내용으로 구성이 됩니다. 때마침 조작적 허위정보의 추적을 담당하는 뉴욕타임스 기자의 이야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