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Post 저널리스트 저널리스트라는 직업은 여전히 유망하다 찰리 와젤(Charlie Warzel)은 최근 뉴욕타임스를 떠나 서브스택에 둥지를 텄습니다. 버즈피드 뉴스 기자 출신인 그는 2019년부터 뉴욕타임스에서 오피니언 담당 작가로 글을 써왔습니다. 하지만 4월5일 뉴욕타임스의 마지막 오피니언 칼럼을 끝으로
Free Post 탐사저널리즘 [번역] 기자가 알고리즘을 체계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방법 알고리즘 비판을 염두에 두고 있는 기자들에게 저는 이 논문이 그 힌트를 제공할 뿐 아니라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시
Free Post 서브스택 서브스택, 735억원 투자 유치...어디에 쓸까? 업데이트할 예정입니다서브스택이 6500만 달러, 우리돈으로 735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2019년이 마지막 투자 라운드였는데요. 이번 투자로 서브스택은 기업가치가 6억5000만 달러로 급성장했습니다. 곧 유니콘을 내다볼 수 있는 시점까지 와 있는 거죠. 서브스택은 수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미디엄은 왜 서브스택에 밀리고 있을까 우리는 늘 부러운 눈으로 바라봅니다. 미디엄과 서브스택, 개별 작가/기자들이 그들만의 콘텐츠로 지속가능한 수익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회를 두 서비스는 제공해주고 있죠. 자신만의 전문성을 갖춘 작가들이 언론사나 직장을 뛰쳐나와 당장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유료 뉴스레터 1년' 사이먼 오웬, 그가 배운 교훈들 사이먼 오웬스의 이름을 알게 된 것은 수 년도 더 된 듯합니다. 미디어와 마케팅 분야에서 나름의 경험과 식견을 보여주는 글을 자주 써왔기에 구독도 해두었습니다. 최근에는 서브스택으로 둥지를 옮겼더군요. 그리고 유료로 뉴스레터를
Free Post 지역언론 [번역] 지역 저널리즘이 죽어가고 있다? 더 가까이 들여다보세요 아래는 '저널리즘의 기본 원칙'의 저자이자 미국언론연구소(API) 이사가 포인터 등에 연재하는 정기 칼럼을 저자의 동의 없이 번역한 것입니다. 그의 글이 더 많은 이들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를 돕는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Metered Paywall의 남은 기사수 문구가 구독 수익에 미치는 영향은? 디지털 구독 모델을 도입할 때 메시징 전략은 무척이나 중요합니다. 요소요소마다 구독 전환을 요청하는 여러 문구들을 배치해야 하기 마련인데요. 메시지 톤&매너의 작은 차이에 따라 구독 수익과 전환율도 함께 들락날락
Free Post 저널리즘 논문 '저널리즘의 객체 지향 연구'와 물질적 전환 저널리즘의 객체가 어떻게 느끼게 되고, 경험되고, 다른 문화적 상황에 처하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Free Post 제어위기 클럽하우스 등장은 필연? 그 이면에 움직이는 기술의 동학 저의 개똥철학을 오랜만에 열거할 기회가 생겼네요. 미리 말씀드리지만 ‘개똥기술철학’입니다. 벤 톰슨의 글 ‘Clubhouse’s Inevitability’를 읽다가 문득 든 생각입니다. 물론 꼼꼼하게 읽어보진 않았습니다. 클럽하우스 이면의 '통제와 탈통제의 순환적
Free Post 네이버 [이슈설문 결과] 네이버 실검으로 언론사 수익 감소? 종사자 vs 비종사자 전망은 달랐다 2020년 하반기로 접어들면서 광고 시장이 다시금 살아났고 이를 바탕으로 언론사들의 수익은 전년과 비슷한 수준으로 선방했거나 일부 감소한 정도로 평가가 되고 있습니다
Free Post 수용자수익모델 [인터뷰] '디지털 구독 5년' 아웃스탠딩, 꾸준한 성장의 요인은 무엇일까 디지털 구독을 핵심 수익모델로 성장을 이끌어가고 있는 국내 언론사하면 어디부터 떠올리시나요? 이러한 질문을 던졌을 때 다수는 “국내에? 그런 곳이 있어?”라고 답변을 합니다. 하지만 적잖은 수의 언론 산업 종사자, 특히